본문 바로가기

전공공부

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(응용재료역학), 축하중과 횡하중의 조합

 

  • Note on Incompatibility at the Joints(연결부에서의 부적합성)
    • 실린더와 덮개의 반경 변화량은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.
    • 변위와 기울기의 연속성은 접합점 부근에 굽힘응력이 존재해야 함을 뜻합니다.

 

8.3. Combined Axial and Lateral Loads(축하중과 횡하중의 조합)

  • 균일분포 축응력과 횡하중만 작용하여 발생하는 굽힘응력의 합

(변형이 충분히 작아서 굽힘모네트 M의 계산 시에 변위가 무시될 수 있을 때)

(변형을 무시하지 않을 때)

  • M은 횡하중만 작용할 때 생기는 굽힘모멘트를 뜻한다.
  • 만약 P가 tensil(postive), 그 모멘트는 bending stress(굽힘응력)를 감소시키고 P가 compressive(negative)면 모멘트는 bending stress(굽힘응력)을 증가시킨다.
  • 축하중 P와 굽힘모멘트 M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평형해석을 이용해야 한다.
  • 특정단면에서 법선응력이 필요할 때는 그 단면상에서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자유물체도를 이용해야 한다.